미주신경성 실신 원인 및 예방법!
촬영 중 실신해 많은 팬들이 걱정하게되는 일이 가끔씩 일어나는데요 이렇게 갑자기 사람이 쓰러지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본적 있으신가요?
일부 애정이 강한 팬들은 혹시 본인이 좋아한느 연예인이 심각한 병에 걸린건 아닐까 걱정하기도 하고 반면에 다른 편에서는 꾀병 부리고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대게는 중병도 꽤병도 아닌 부교감 신경의 어떤 과도함 때문에 생긴 '미주신경성 실신'의 경우가 많습니다.
미주신경은 부교감신경 중 하나인데요, 이 미주신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이 우리몸에서 하는 일을 알아야 합니다.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이란? |
|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은 우리 몸안의 여러 장기와 조직 기능들을 조절합니다.
교감신경은 우리가 위급한 상황이라 판단될때 대처하는 신경으로, 위급한 상황에서 심장박동수가 증가하고 혈액을 뇌와 심장, 근육으로 집중해서 보내며 털이 세워지고 땀이 나게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배고픔도 잊게 됩니다.
부교감신경은 교감신경의 반대 작용을 하는데요 심장박동수와 혈압이 떨어지고 소화운동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중요한 면접이나 시험등 어떤 긴장된 상황이 해소됐을때 느껴지는 안도감 등을 생각하면 쉽겠습니다.
이런 두 신경은 상호작용을 하는데, 만약 우리몸이 어떤 위기감에 의해 갑자기 흥분된 상태가 됐다고 한다면 동시에 이를 가라앉히기 위한 신경도 활성화 됩니다.
이런 상호작용은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 보면 되는데요, 미주신경성 실신은 이 두 상호작용이 주고 받는 과정에서 나타나게 됩니다.
우리가 극도로 긴장을 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자연스럽게 교감신경이 작용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교감신경도 작용하게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부교감신경이 과다하게 작용하게 되면 뇌로 가는 혈류의 양이 급격히 줄거나 멈추게 되어 의식을 잃고 실신하는 일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우리가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상황에서 미주신경성 실신이 발생하게 됩니다.
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려면? |
미주신경성 실신을 예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위에 얘기한 스트레스가 주된 원인이므로 자신이 극도로 스트레스를 받는 요소들이 있다면 되도록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본인이 고소공포증이 너무 심하다면 놀이공원의 스릴넘치는 놀이기구나 번지점프 등의 체험은 되도록이면 피해야 할것입니다.
목용탕의 냉탕, 온탕처럼 온도변화가 심한 곳에 들어가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소변을 과도하게 참을경우 방광근육이 흥분하게 되는데 이때 부교감신경도 활성화되면서 혈압이 떨어짐에 따라 실신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되도록 참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보통 하루중 우리 몸 속 수분이 아침에 가장 적고 혈압도 낮은데 아침식사를 챙기고 물을 많이 마시면서 혈압이 낮아지는것을 방지하는게 중요합니다.
이상 미주신경성 실신 원인 및 예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